한국언론인:"위기에 처한 연변 조선족 한글"

나나 | 2014.08.05 18:58:01 댓글: 2 조회: 10136 추천: 4
분류일반 https://life.moyiza.kr/crcncolumn/2314282
대전동방문화진흥회와 함께 백두산에 다녀왔다. 첫 방문지는 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주도(州都) 연길(延吉)이었다. 연길 공항을 빠져 나오면서 첫 눈에 들어온 것은 한글로만 된 안내문이었다. “공사중 불편한 점 량해 부탁드립니다” 공항 청사 일부가 수리중이었다.


연변이 초행인 필자로선 ‘그래도 중국 땅인데 안내문이 우리말로만 되어 있다니!’ 하는 놀라움으로 공항을 나와 시내 광고판을 둘러봐도 한글의 위세는 꽤 당당해 보였다. 모든 간판은 한글과 한자로 병기되고 있었다. 간판 위쪽에 한글로 쓰고 아래쪽에 한자로 쓰거나, 한글을 왼쪽에 쓰고 한자를 오른쪽에 붙였다. 조선족 가이드는 간판 규정이 그렇게 돼 있다고 했다.


하지만 한글은 위기에 처해 있었다. 조선족 자치주에 속한 돈화시(敦化市)에선 한글 병기를 지키지 않으려 하고 있다. 규정 때문에 한글을 함께 쓰지만 한문을 위쪽에 더 크게 쓰고 한글은 아래에 작게 쓴 간판이 많았다. 한글은 아예 빼 버리고 한자만 쓰는 경우도 있었다.


엉터리 한글 간판 늘어나는 연변 자치주


돈화시에는 청나라 황제들을 모신 ‘청조사(淸祖祠)’가 있다. 만주족의 역사와 문화를 기리는 공간으로 2011년에 문을 열었다. 청조사의 지면 부조물에 내걸린 안내표지는 한글이 처한 실상을 알려주고 있었다. ‘금지등반하여넘다’라는 한글과 함께 ‘禁止攀越’(금지반월)이라고 쓰여 있다. 영어(Prohibiting Climbing)로도 적고 월담금지 표시까지 넣었으니 누구든 무슨 뜻인지는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팻말이 한글로만 적혀있다면 이게 무슨 뜻인가 했을 것이다. ‘금지등반하여넘다’는 한문을 한글식으로 옮긴 것으로 보인다. 가이드는 “돈화시에는 병기 규정 때문에 한글을 함께 쓰지만 엉터리 간판이 많다”고 했다. 광고간판조차 제대로 만들 수 없을 정도로 한글을 아는 사람이 없다는 뜻이다.


언어는 시대와 장소에 따라 변화한다. 생성되기도 하고 소멸되기도 한다. 조선족 한글도 현지화(現地化)는 불가피했을 것이다. ‘한자식 한글’은 있을 수밖에 없다. 어디선가 <여가여관 如家旅館>이란 간판도 눈에 띄었다. 내집 같이 편안한 여관이란 뜻일 게다. 그 정도면 문제 될 게 없다.


그러나 지금 조선족 한글은 단순한 현지화가 아니라 통째로 사라져 가고 있다. 곳곳에서 이미 ‘의미 없는 부호’로 전락해 가고 있다. 그야말로 객지에서 ‘고생’하는 한글이었다. 모국인 우리나라에서도 영어에 밀리고 치이면서 고생을 하고 있는 편이지만 조선족 자치주에서는 단순한 고생이 아니었다. ‘죽음의 길’로 가는 환자의 나쁜 예후였다.

▲ 2011년 문을 연 돈화시 청조사에 내걸린 안내문


조선어학교 대신 중국학교로 입학하는 조선족


한글뿐이 아니다. 말도 사라져 가고 있다. 조선족 자치주에는 조선말로 가르치고 배우는 조선어학교가 아직은 적지 않다. 연길에만도 10개가 넘는다고 한다. 그러나 조선어학교에 입학하는 조선족 학생은 계속 줄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시발점은 고국(남한)한테 있었다. 조선족들은 TV생중계로 88년 서울올림픽을 지켜보면서 고국의 발전상을 알았고, 너도 나도 한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현재 조선족 인구 210만 명 가운데 40만이 한국에 나와 있다. 그 자리를 한족(漢族)들이 메우면서 75%가 넘던 조선족 비율은 36%로 줄었다.


무엇보다 한글을 위협하고 있는 것은 중국의 경제성장이다. 조선족 학생들은 더 좋은 기회를 얻기 위해 중국 경제의 중심인 상해나 북경으로 진출하려 한다. 그러려면 초등학교부터 조선어학교보다 중국학교에 들어가는 게 유리하다. 중국학교에 다니면 조선어보다 중국어를 더 쓰게 된다. 가이드도 아이가 집에서도 자꾸 중국어를 써서 혼을 내주곤 한다고 했다.


연변서도 농촌 총각들은 장가드는 게 힘들어졌다. 한국과 다르지 않다. 돈 많은 농촌 총각 중엔 한족 여성과 결혼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는 다문화 가정으로 전환을 의미한다. 조선족끼리 결혼하던 관행이 깨지면서 한글이 설 자리는 더욱 좁아지고 있다.


조선족 인재들의 중요한 경쟁력 중 하나는 모국어다. 중국의 민간기업들은 중국어와 함께 한국어까지 자유롭게 구사하는 조선족을 선호한다. 가이드는 “같은 대학을 나와도 한족보다 조선족 학생이 더 인기가 있다”고 했다.


한글이 조선족 대학생들의 경쟁력을 높여주고 있지만 이것이 결국은 한글을 위험에 빠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조선족 부모들은 자식에게 우리말조차 별도로 가르쳐야 할 상황으로 가고 있다. 조선족 학생에게도 한글이 또 하나의 외국어로 전락하면 그들의 한국어 경쟁력도 결국엔 사라지고 말 것이다.

▲ 하얼빈에 있는 한글 간판 김밥집. 주인은 중국인이다.


조선족이 우리 말과 글을 잃어버린다면..


스마트폰 문화에서 한글의 우수성이 확인되고, 한류의 영향으로 한글을 배우겠다는 세계의 젊은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중국에서도 한국 김밥이 인기다. 하얼빈에는 간판을 한글로 내건 김밥집도 있었다. ‘김희순’이란 한글 간판이 눈에 들어와 다가가 보니 주인은 중국 사람이었다.


‘상품’과 ‘상표’로서의 한글은 세계 도처로 뻗어나가고 있지만 언어와 문자로서의 조선족 한글은 위험한 상태로 빠지고 있다. 가이드는 “우리 자식들 대(代)까지는 어떻게든 한글을 잊지 않도록 하겠지만 그 후엔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고 씁쓸해 했다.


말과 글을 잃은 민족의 처지는 만주족이 잘 보여준다. 청(淸)을 세워 중국을 호령하던 만주족은 자기 말과 글을 잃어버렸다. <위키백과>는 중국내 만주족 980만 가운데 만주어를 완전히 알 수 있는 사람은 20명이 안 된다고 설명해놓고 있다. 그들에겐 지나간 역사만 있을 뿐 미래가 없다. 말과 글을 잃어버리면 자신을 되찾을 방법이 없다.


조선족이 우리 말과 글을 잃어버린다 해도 그들에겐 모국어를 쓰는 고국이 있다는 점이 만주족과는 다른 점일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우리말과 글을 잃어버리고 한족과 동화되어 살아간다면 계속 조선족으로 남을 수 있을까?

김학용 주필


추천 (4) 선물 (0명)
첨부파일 다운로드 ( 2 )
111.jpg | 64.3KB / 0 Download
112.jpg | 71.7KB / 0 Download
IP: ♡.217.♡.7
썰료각띠 (♡.113.♡.91) - 2014/08/18 17:27:04

가슴아픈 현실

뉴런 (♡.210.♡.39) - 2014/08/24 14:36:42

모국인 우리나라에서도 영어에 밀리고 치이면서 고생을 하고 있는 편이지만
=====
고생하는편이라고요?

완전 우리말을 하나두 안쓰던데 그래갖고 무슨 한글의 우수성이구머구 ....

우수성을 표방하는 사람들이 전부 외국어사용해요?

글쓴사람은 완전 하나만 보고 전체를 모르는 사고방식을 가졋군요

솔직히 한국에 살면서 외국어를 한글로 표시한것을 보면서 수치심같은거 없죠?

이제 좀만 지나면 그것이 원래 한글인것처럼 말할걸요

글 잘못 쓴것은 잘못이지만

알면서 외국어를 쓰는 사람은 나쁜사람입니다

728 개의 글이 있습니다.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너의향기^
2005-10-25
29
16912
나나
2023-05-13
0
3530
나나
2023-02-15
2
4897
선휘서원
2022-10-16
2
4811
선휘서원
2022-10-15
0
4074
선휘서원
2022-10-07
1
3267
선휘서원
2022-10-05
0
3170
선휘서원
2022-10-04
0
4641
선휘서원
2022-10-03
0
4205
선휘서원
2022-10-03
0
3624
선휘서원
2022-10-02
0
2510
선휘서원
2022-10-02
0
3020
선휘서원
2022-10-01
0
3067
선휘서원
2022-10-01
0
3077
나나
2022-03-20
3
3795
나나
2022-01-14
2
4796
선휘서원
2019-02-22
0
7440
선휘서원
2019-02-21
0
4502
선휘서원
2019-02-18
0
4251
선휘서원
2019-02-16
0
4182
선휘서원
2019-02-14
0
3771
선휘서원
2019-02-12
0
3880
선휘서원
2019-02-10
0
3847
선휘서원
2019-02-08
0
4115
선휘서원
2019-02-02
0
7698
선휘서원
2019-01-30
0
3072
선휘서원
2019-01-29
0
2288
선휘서원
2019-01-27
0
2949
모이자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