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비만과 사상체질

겨울바다 | 2007.05.25 12:17:58 댓글: 0 조회: 1034 추천: 0
분류건강·상식 https://life.moyiza.kr/lifetips/1477056
많은 사람들이 비만해지면 미용적인 면에서 관심을 갖는다. 그러나 더 문제가 되는 것은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그중의 가장 큰 문제는 바로 복부비만이다. 각종 성인병, 난치병 등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복부의 지방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내장형 비만이고 다른 하나는 피하형 비만이다. 일반적인 경우에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의 비율이 8 대 2 정도로 피하지방이 많다. 비율이 깨어져 내장지방이 2 이상이 되면 내장비만이라고 하고 2이하 이면 피하지방이다. 내장비만은 복부의 내장, 장간막, 복강 등에 지방이 쌓이는 것으로 성인병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복부비만에는 일반적으로 복부가 많이 나온 사과형 비만과 엉덩이 부위의 비만이 많은 서양배형 비만이 있다. 골반뼈가 있는 엉덩이의 둘레와 허리가 있는 복부둘레를 재어 보아서, 남자의 경우는 1.0이 넘거나 여자의 경우는 0.8이 넘는 경우에 사과형 비만이라고 하고 이하인 경우는 서양배형 비만이라고 할 수 있다.

복부비만은 없애야 한다. 복부비만의 가장 큰 원인은 많이 먹는 것이다. 운동이 부족하든 오래 앉아 있던지 적게 먹는다면 뱃살이 생기지 않지만 많이 먹는다면 복부비만이 오는 것은 당연하다. 다음은 활동이 부족하고 오래 앉아있거나 걷지 않고 차만 타고 다니는 등의 운동이 부족한 것이다. 서서 활동을 한다면 대장, 소장이 항상 움직이므로 지방이 쌓일 시간이 없다.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긴장을 하여도 소장, 대장의 기능이 잘 안되어 복부비만이 온다. 그 외에 병적인 원인으로는 변비가 심하거나 이뇨작용이 안되거나 부종이 심하거나, 혈액순환이 잘 안 되는 경우에도 복부비만이 온다.

복부비만을 예방하기 위하여서는 술, 육류, 고열량의 음식 등을 피하고 야채류를 먹으며 꾸준한 운동을 하고 많이 걸어야 한다.

참고로 비만을 진단하는 방법은 원래 체지방을 측정을 하여 남자의 경우는 25%이상, 여성의 경우는 30%를 넘어야 비만이라고 한다. 원래 체지방을 정확하게 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물에 잠수하여 체중을 재어서 계산하는 것이다. 요즘은 편리한 비만 측정기기가 많이 나와 쉽게 측정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비만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자신의 키가 170cm라고 하면 170에서 100을 빼고 0.9를 곱한 63kg이 자신의 평균체중이고 여기에 10%인 69.3kg까지 정상이고, 20%인 75.6kg이면 비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체지방을 측정한 결과와 다를 수 있다.

어느 체질에서 복부비만이 가장 많이 나타날까? 바로 태음인이다. 태음인들은 폐대간소(肺大肝小)로써 허리부분이 가장 발달하고 목이 약하다. 먼저 복부의 비만이 오면서 다음에 상체나 하체의 비만도 같이 나타나는 경향이 많다. 다음은 소음인들이다. 소음인은 골반이 발달하고 상체가 약하기 때문에 먼저 하체와 골반부위의 비만이 오면서 다음에 복부의 비만이 오고 점점 상체의 비만이 오는 경향이 있다. 다음은 소양인이다. 소양인은 흉곽이 발달하고 골반이 약하므로 먼저 가슴과 등의 비만이 먼저 온 후에 다음에 복부의 비만이 오는 경향이 있다. 마지막으로 태양인이다. 태양인은 목부위가 발달을 하고 허리가 가장 약하여 목의 비만이 먼저 오고 다음에 가슴과 등의 비만, 복부비만의 순으로 비만이 점점 내려온다. 또한 체질에 따른 오는 경향성을 이야기 하였지만 어느 체질을 막론하고 개인의 생활환경에 따라서 가장 활동량이 적은 부위의 비만이 먼저 온다. 그중에 가장 쉽게 오는 비만이 복부비만이다.    




추천 (0) 선물 (0명)
IP: ♡.69.♡.219
11,896 개의 글이 있습니다.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옥란화
2009-04-30
0
32421
보라
2006-06-20
1
40096
남자의인생
2007-05-29
1
1650
Gh.5
2007-05-29
3
1871
Gh.5
2007-05-29
0
1290
사진사
2007-05-29
2
658
Gh.5
2007-05-27
0
1650
Gh.5
2007-05-27
1
1373
Gh.5
2007-05-26
5
750
Gh.5
2007-05-26
3
1259
신나라
2007-05-25
0
939
신나라
2007-05-25
0
683
신나라
2007-05-25
0
500
Gh.5
2007-05-25
0
1244
Gh.5
2007-05-25
0
754
Gh.5
2007-05-25
0
629
너의향기^
2007-05-25
0
1228
겨울바다
2007-05-25
0
1034
Gh.5
2007-05-24
0
623
Gh.5
2007-05-24
0
545
Gh.5
2007-05-24
0
973
Gh.5
2007-05-22
0
2253
Gh.5
2007-05-21
3
873
Gh.5
2007-05-21
2
1118
Gh.5
2007-05-21
1
793
링얼
2007-05-21
1
960
Gh.5
2007-05-20
2
1649
Gh.5
2007-05-20
1
662
모이자 모바일